김해시김해시, 전국 최초 민간단체와 다회용기 사용 활성화 사회적 협약 체결

김해시는 26일 오후 4시 시청 비상대책회의실에서 관내 초‧중‧고 총동창회 8곳, 한국노총 김해지부와 ‘탈(脫)플라스틱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다회용기 사용 활성화 사회적 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은 지난 11월 발표한 ‘생활속 탈플라스틱 추진 종합계획’의 김해시만의 독창적인 6개 시책사업 중 하나로 민관이 협력해 전국 처음으로 추진했다.

 

협약에 따라 협약단체(기관)는 체육대회, 야유회 등 각종 행사 시 1회용 플라스틱 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적극 사용하고 김해시는 홍보와 지원 역할을 하게 된다.

 

이번 첫 협약은 탄소중립 실현과 플라스틱 과다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 최적의 방안은 일상생활에서 1회용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여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과 소각량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에서 이뤄졌으며 김해시는 협약단체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플라스틱과 비닐류의 탄소배출계수는 2.76 정도로 소각했을 때 나오는 탄소량이 가장 높다. (※ 탄소배출계수: 에너지, 원료 또는 물질 소각 시 단위 질량만큼 발생하는 탄소의 양)

 

김해시는 올해 4월부터 7개월간 전국 처음으로 민간장례식장 3곳에서 다회용기 사용 시범사업을 추진해 1회용 플라스틱 폐기물을 72%(약 22t) 감소시키는 성과를 냈다.

 

또 공원묘원 플라스틱 조화 근절사업으로 올해 43t의 플라스틱 조화 쓰레기를 줄여 119t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얻었다.

 

홍태용 시장은 “체육대회, 야유회 같은 각종 행사에서 1회용 플라스틱 용기 대신 다회용기를 사용하고 이러한 문화가 확산된다면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빨리 탈플라스틱 사회가 다가올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 생활속 탈플라스틱 추진계획

① 가연성 생활쓰레기 중 폐비닐 분리 배출 및 수거해 재활용 추진

【전국 최초 시행】

② 각종 민간단체와 다회용기 사용 사회적 협약체결【전국 최초 시행】

③ 관내 전 민간 장례식장 다회용기 사용 전면 시행【전국 최초 시행】

④ 투명페트병 회수기기 확대 설치(2026년까지 총 30대 설치)

⑤ 탈 플라스틱 사회로 전환을 위한 인프라 확충(세척시설 신축)

⑥ 공원묘원 플라스틱 조화 근절사업 지속 추진(법제화 통해 전국 확산)

- 연간 43톤(*전국 1,557톤) 이상의 플라스틱 조화 쓰레기 발생 억제

- 김해시 : 묘원 4개소, 매장 4만8천기/ *전국: 470개소, 173만기)

 

▣ 기대효과

❍ 연간 14,700톤의 플라스틱 쓰레기 및 약 40,630톤 탄소 저감


 


[저작권자ⓒ뉴스아이앤지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금지] [뉴스아이앤지 E-mail: news-ing@naver.com Tel: 055-351-3211]
0

회사소개 | 윤리강령 | 광고안내 | 책임의한계와법적고지

회사소개 | 윤리강령 | 광고안내 | 책임의한계와법적고지